Skip to content

2011.04.18 12:31

Goodbye Pyeongyang.

조회 수 18721 추천 수 0 댓글 2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지난주에 아래 영화를 다운 받아서 보게 되었습니다.

영화라고 말 하기가 조금 그렇긴 하지만(저예산 독립영화) 보고나니 많은 생각에 잠기네요.

각자 느끼는 감정은 틀릴꺼라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중 몇가지 제가 느낀 점을 알려드리면...

1. 북한에서 일본에 있는 재일교포들을 지원할때 남한에서는 무엇을 하고 있었나?
이제야 북송선을 탄 재일교포들을 조금이나마 이해할껏 같습니다. 왜 그래야만 했는지...
2. 아 저런 우리네 가족들도 있구나. 왜 난 저런 부류의 우리 민족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을까...
3. 와! 북한에서도 치아 교정을 하는구나...
4. 헉 북한에서도 영어를 배우네..그것도 아주 잘 배우는듯...

이외에도 많은 미묘한 감정들이 오고갔습니다.

기회되실때 한번씩 보셨으면 합니다.

저희 애들과도 같이 보려 하였는데 아직 어려서 그런지 저련 상황을 전혀 이해하지 못하고 재미없다고 자기들 방에 가서 논다고 하네요...



굿바이, 평양 (2009)
다큐멘터리  2011 .03 .03  82분  한국  전체 관람가
감독
양영희
출연
양선화양건화양영희
줄거리
커피와 음악을 좋아하던, 건축가가 꿈이라던 나의 세 오빠들은 지금 평양에 살고 있습니다. 30년 전, 어린 오빠들을 북으로 보낸 아버지를 원망도 많이 했습... 더보기
공식사이트
http://blog.naver.com/goodbyepy






?
  • ?
    CCP 2011.04.18 18:49

    뚜버기님, 플로렌스 님 덕분에 간간이 영화 한 편씩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
    플로렌스 2011.04.20 02:05

    북한의 일상을 접할 기회가 참 드문데 이 영화는 제가 북한을 이해하는데 가장 중요한 자료 중의 하나일 것같습니다. 뚜버기님을 통해서 늘 새로운 창을 열 기회를 얻는군요. 재일교포와 북송재일 교포에 대한 자료가 너무나 없어서 참 답답할 때가 많죠.

     

    재일 교포에 대한 것은 캐나다의 유명한 환경운동가 David Susuki와 나중에야 본인이 한국계라는 것을 알게 된 작가와 함께 쓴 The Japan We never Knew라는 책의 한 장에 할애 되어 있습니다. 빌려드릴 수 있습니다.

     

     

    그리고 작년에 사놓고 아직 못본 Tessa Morris-Suzuki가 쓴 Exodus to North Korea: Shaows from Japan's Cold War라는 책이 있습니다. 모리스-스주끼는 굉장한 작가더군요. 

     

    아마 북한으로 재일 교포들이 많이 건너간 이유는 50년대 당시 이승만의 반공정책의 영향과 그 여파가 대일외교전에서 많이 좌우되었다고 작년에 읽은 이승만 관련 역사 책에서 언급했더군요. 50년대 말과 60년대 초에 약 9만명의 재일교포가 일본에서 북한으로 건너갔다고 합니다. 이 분들은 일제 식민지와 민족분단의 희생자들입니다. 그 슬픈 과거는 스즈끼의 책에 있는 한 장만 봐도 생생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근데 항상 돈과 시간이 문제죠. 이런데 관심있는 저널리스트들이나 학자들이 많이 관심을 가져야 하는데 여전히 관심의 사각지대가 바로 재일 교포들에 대한 관심입니다.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9015
81 Re: 김연아 경기모습 다시보기 moonee 2010.03.08 10329
80 Re: 기적수업 한국 모임 홈페이지를 안내합니다. 1 구정희 2010.07.05 11938
79 Re: Youth event: Bowling on December 27th Charley C Park 2008.12.22 8106
78 Re: Youth event: Bowling on December 27th Maple 2008.12.23 7992
77 Re: Ratatouille Charley C. Park 2009.02.12 25120
76 Re: Ottawa to crack down on human smuggling 운영자 2004.03.09 28385
75 Re: Here I Am Lord Charley C Park 2009.01.30 8746
74 Re: Greetings Charley C Park 2008.11.16 22890
73 Ratatouille 곽계훈 2009.02.08 24986
72 Political compass (나는 우파, 좌파?) 2 SOON 2010.01.23 25278
71 PD수첩] 봉쇄된 광장, 연행되는 인권 1 마틴 2009.06.03 8556
70 Papa (lyric)- Paul Anka. 1 마틴 2010.03.25 8108
69 On earth, as it is in heaven 3 먼동 2010.10.02 8839
68 O Come, O Come, Emmanuel 2 ch 2010.12.15 14797
67 Noam Chomsky Interviewed -영문판 운영자 2003.04.15 8671
66 MSN 메신저 이용한 웜 급속 확산 운영자 2005.02.02 9381
65 Mother Of Mine 나의 어머니 플로렌스 2008.07.23 8322
64 More American Schools Stop Textbook Falsifying Korea 운영자 2007.01.23 8649
63 Libera Ave Maria 마틴 2010.05.14 10332
62 Last Feast of The Crocodiles 플로렌스 2013.04.18 10732
61 KUCC'S AD on Alberta Journal 2 Soon 2009.09.21 8270
60 KUCC Youth Night - a brief report Soonchang 2008.12.28 10440
59 Korean Food Festival 2 file 새벽여행 2016.04.08 238
58 Joined for Life 마틴 2009.11.18 8083
57 Job Interviews 영어 및 이디엄 1 마틴 2010.06.10 8501
56 Jasper의 Athabasca River는 어디로 흘러가나? 4 플로렌스 2011.10.12 259714
55 It`s A Beautiful World (플래쉬) 클루 2003.04.15 8291
54 Inn from the cold 다녀와서 2 곽B 2009.11.01 8016
53 Inherit the Wind-원숭이 재판 영화 1 플로렌스 2011.03.01 22135
52 http://www.airdriefestivaloflights.com/ 운영자 2003.11.30 5846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