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478 추천 수 1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음악: GIOVANNI MARRADI - Remember When

 

1937년 4월 26일 스페인의 프랑코 군대는 바스크라는 작은 마을을 공격하여 7000명의 주민 중 1654명을 학살합니다. 이에 분노한 피카소는 이 학살의 장면을 그림으로 형상화하여 파리 국제 전시회에서 그 잔혹함을 고발합니다.    

 

Pablo Picasso, Guernica, 1937, oil on canvas, 349 cm × 776 cm. (Museo Reina Sofia, Madrid)

이 그림은 너무나 유명하여 다들 잘 알지만, 가장 고통스러운 모습으로 신음하는 동물인 말의 모습엔 우리가 별로 관심을 가지지 못했습니다. 인간이나 동물이나 무차별적으로 희생자가 되는 이 장면을 한때 가톨릭 수녀였던 신화학자 캐런 암스트롱은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두 명의 여성이 이 고통에 못이겨 울부짖는 말의 모습을 마치 자기의 고통인양 감정이입(empathy)을 하여 바라봅니다. 고통은 사람이나 동물이나 모두가 느끼는 것이며, 이런한 타자의 고통이 극에 달해 몸부림치는 모습(agony)을 피카소는 전하고 있습니다. 

 

타자의 아픔을 함께 느끼는 것은 함께 있다고 그런 것은 아닙니다. 한국의 대통령을 보십시오. 세월호 희생자 유가족들을 만나고도 그리고 악어의 눈물을 흘리고도 아직도 본체만체 하는 것은 세월호의 아픔의 이야기를 함께 따라가지 못하기 때문입니다. 타자의 고통의 이야기를 들으면서 지겹다, 신물난다고 외치는 한국의 극우들의 "악의 일상화"(the routinization of evil)는 바로 이야기의 단절이고 마음의 흐름의 단절입니다. 희생자 자녀를 둔 아이들의 부모들은 평생 그 한을 마음에 품고 살아갑니다. 고통은 잊을 수 없는 것이고 생이 다하는 때까지 파도처럼 밀려와 심장을 두드릴 것입니다.  

 

그러면 우리는 타자의 모든 고통에 공감이나 자비의 마음을 가질까요? 거의 그렇지 못합니다. 어떤 때 우리는 타자의 눈물에 우리도 눈물을 흘리지만, 어떤 때 우리는 타자의 눈물조차 고드름으로 만들어 버립니다. 우리의 눈물은 항상 지엽적이며, 부족주의적이며, 가족주의적이며, 그리고 민족주의적입니다. 결국 이기적입니다. 눈물의 바다는 우리에게는 가능하지 않습니다. 우리의 감정은 이야기를 따라가며, 그 이야기가 보여주는 흐름에 내가 마치 흐르는 강물처럼 따라갈 때, 내 마음이 강물이 되고, 급기야는 바다가 되는 것이죠. 타자의 이야기가 산줄기를 따라 굽이쳐 흘러 내 가슴에 와 닿을 때 우리는 비로소 공감의 눈물을 흘립니다.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9040
171 한국영화 방가방가를 보고... 4 뚜버기 2010.12.11 8862
170 O Come, O Come, Emmanuel 2 ch 2010.12.15 14799
169 The Cranes 1 ch 2010.12.21 13132
168 White Christmas 1 ch 2010.12.21 17787
167 ufo 관련사이트 소개 7 UFM 2010.12.24 11855
166 과학자 맹성렬의 UFO 이야기 신동아 인터뷰 2 새로운 셰계 2010.12.28 12485
165 UFO 존재-무지에 의한 논증 1 ch 2010.12.29 23958
164 반지의 제왕 별전? Born of Hope - Full Movie 3 ch 2011.01.03 21768
163 아랑훼스 Aranjuez Concerto 기타반주 장대건 1 Greta 2011.01.06 73276
162 다문화로 가는 데 멀고 먼 한국 3 ch 2011.01.11 18142
161 수정요망! 1 mk 2011.01.16 14751
160 우리 그룹 구역 예배 일정과 관련하여 7 문준혁 2011.01.21 11432
159 미국의 반민주적 죄악상-The War on Democracy 2 ch 2011.01.24 30605
158 또다른 미국과 기독교인에 대한 무서운 이야기.(Jesus Camp) 2 뚜버기 2011.02.06 16928
157 영화 My Name is Khan.을 보고. 4 file 뚜버기 2011.02.06 13399
156 영화 Religulous 1 ch 2011.02.17 15768
155 침뱉는 통 (Spittoon) 1 플로렌스 2011.02.27 19285
154 Andrea Bocelli - The Lord's Prayer. 3 뚜버기 2011.02.27 53250
153 Inherit the Wind-원숭이 재판 영화 1 플로렌스 2011.03.01 22136
152 진정한 주님의 제자는 이런모습이 아닐까요? - 고 이태석 신부편 2 뚜버기 2011.03.04 20185
151 게시판에 Youtube 링크 입력 되게끔 수정 완료 하였습니다. 4 뚜버기 2011.03.04 15736
150 캐나다 연합교회 총회장의 사순절 (Lent) 메시지 관리자 2011.03.08 19952
149 한국에 사는 영국인 Mark Thomas 플로렌스 2011.03.13 14807
148 홈페이지 변경 공지하다가 푸념 만 하네요.. 4 뚜버기 2011.03.14 14120
147 고 문형린 장로 생전 동영상. 2 뚜버기 2011.03.14 14282
146 일본 관련하여 우리 교회를 통하여 무언가 할 수는 없을까요? 3 뚜버기 2011.03.14 12134
145 캐나다 연합교회 공고문 Japan Update: Prayers and Donations Welcome 관리자 2011.03.16 15364
144 시대정신 Zeitgeist 4 플로렌스 2011.03.21 13546
143 베토벤과 쇼팽의 피아노곡 2 플로렌스 2011.03.22 16116
142 어느 일본 소녀와 개의 우정 이야기 Greta 2011.03.23 1612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