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5793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삼보일배, 이야말로 진정한 종교!
5월 31일 토요일, 새만금 삼배일보 행렬이 광화문 집회를 마지막으로 대장정을 끝낸다. 같은 날, 불교, 카톨릭, 개신교 연합으로 난치병 어린이를 돕기 위한 사랑의 바자회가 수유리 화계사 아래 한신대학원 운동장에서 열린다. 이 두 가지 사건을 보면서, 나는 한국의 종교공동체에 내가 속해 있다는 사실이 자랑스러웠다. 특히 바자회에는 나의 본사인 화계사도 주최측의 하나이기에 더욱 기쁘다. 이런 행사들을 통해 우리는 사회와 민족의 통일을 위하는 진실한 길이 무엇인지 알 수 있다. 물론 한국에서 이런 행사가 처음 열리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처럼 사회가 불안하고 어지러운 시기일수록 이러한 행동은 더욱 필요하다.


이라크 전쟁 발발 이후 한반도에서도 핵무기에 대한 불안이 팽배하고 있다. 그러나 중동에서 종교간의 끝이 보이지 않는 갈등과 미움이 전쟁까지 이어진 반면, 요즘 한국에서는 종교간의 장벽이라는 두꺼운 흙더미를 뚫고 연꽃 봉오리 하나가 피어나고 있다. 이 꽃은 다른 무엇에도 비교할 수 없이 놀랄 만큼 아름다운 것이다. 이 꽃의 감로수는 한국이라는 위대한 사회 위에 떠돌고 있는 비관적 분위기를 몰아내고 한국인의 저력을 입증하고도 남을 만큼 달다. (아마 100번의 월드컵 4강 진출보다도 이러한 종교간의 공동실천이 우리 사회의 여러 문제를 해결하는 데 더욱 장기적이고 강한 영향력을 줄 것이다.) 이를 통해 우리는 한국이 그토록 오랫동안 갈망해온 통일을 달성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 하는지 깨달을 수 있다.

삼배일보와 사랑의 바자회에서 여러 종교의 지도자들과 일반신자들은 환경을 보호하고 난치병의 고통에 시달리는 어린이들을 돕기 위해 함께한다. 그리고 이분들은 말이 아닌 오직 행동으로 수행하고 있다. 대부분의 종교는 말로 시작하여 그 말에 집착한다. “태초에 말씀이 있었다.” 허나 말 그 자체보다는 그 말에 대한 사람의 집착이 문제를 일으킨다. 바로 이 문자에 집착하는 종교가 갈등의 씨앗인 것이다. 그렇다. 종교는 그 어떤 정치적 맹세보다 효과적으로 한국사회의 상처를 치유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현대 민주주의사회에서 종교적 신념을 어떻게 활용해야 하는지 배우게 된다. 나는 한국의 이런 현상을 보면서 말할 수 없이 기쁘다. 오랫동안 분단의 무게로 고통받아온 한국인들에게 희망을 주는 일이기 때문이다. 이번 삼보일배에서는 불교 승려, 카톨릭 신부와 수녀, 개신교 목사, 원불교 교무 등 다양한 종교인들이 환경파괴로 위험에 처하게 될 수많은 생명을 구하기 위해 열정적으로 수행하고 있다. 이 분들은 하기 쉬운 말이 아니라 심지어 자기 자신의 소중한 건강과 생명까지 걸고 대중적 자각을 이끌어내고자 노력한다. 삼보일배 참가자들은 자신들의 개별적 신앙체계와 독트린을 배타적으로 내세우지 않고, 오직 남을 돕겠다는 일념으로 수행한다.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종교이다! 우리 모두의 위대한 스승이신 부처님과 예수님의 뜻, 즉 오직 자비로운 행동을 통해 사회에 봉사한다는 가르침을 실천하는 길인 것이다. 기독교의 ‘사랑’과 불교의 ‘자비’는 단지 말에 불과할 뿐, 그 참된 뜻은 하나로서 중생을 고통에서 구제하는 것이다. TV, 신문, 인터넷 등등을 통해 세계 곳곳에서 우리는 오직 자기 종교만이 최고라고 승리주의를 전파하는 종교지도자들을 본다. 이처럼 어두운 봄날, 바로 이 땅 한국에서 벌어지고 있는 종교의 형식적 차이를 넘어선 공동실천은 여명을 밝히는 빛과도 같다.

이러한 일들이 한반도 통일과 무슨 연관이 있을까 존경하는 나의 길벗 오강남 목사는 그의 저서 <예수가 외면한 그 한가지 질문>에서, 전통적으로 한국인의 종교생활은 협동보다 분열로 점철되었다고 지적한다. 즉 한국인의 종교적 특색 중 가장 두드러진 것은 ‘종교적 배타성’이라는 것이다. 한국인의 종교적 삶은 언제나 쉽지 않았다. 조선시대에는 불교와 기독교가 탄압당했고, 이후 한국에서 교세를 확장하게 된 서구종교는 우월주의에 기반해 전통적 신앙을 비난하고 말살하고자 했다. 이러한 현상은 한국근대사의 비극적 전개를 반영하는 것이다. 외국인들이 볼 때, 한국의 역사는 이러한 갈등의 악순환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처럼 보였던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번의 여러 종교의 협동실천을 보면서 나는 한국의 미래에 대한 신뢰를 재차 확인한다. 지난 80년대 한국의 종교지도자들은 민주화운동의 큰 뜻을 위해 교파를 초월해 협력한 역사가 있다. 그리고 이제는 한반도 전체의 평화와 공존을 모색해야 할 때이다. 남북통일을 하려면 먼저 남남통일을 이루어야 한다. 이 어려운 시기를 맞아 한번 더 종교간의 벽을 허물고 몸과 마음을 바쳐 한국사회의 내적 화해를 도모함으로써, 종교인들은 남남통일에 기여하고 있다. 이것이야말로 민족통일에 한발 더 가까이 다가서는 일인 것이다. 딱 1년 전 울리던 월드컵 응원의 박수소리가 아직도 우리 귓전에 남아 있다. 그러나 월드컵 응원의 열정과 단결은 순간적 환희에 불과할 수도 있다. 한반도 통일을 향한 긴 길에서 우리가 필요로 하는 것은 보다 근본적이고 장기적인 단결의 힘이다. 수유리 사랑의 바자회와 새만금 삼보일배 - 종교간 공동실천을 위해 한걸음 한걸음 땀 흘리는 그 길은 바로 통일로 통하는 길이다.

현각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305 소망교회 곽선희 목사 변칙세습 일단 `제동` -뉴스앤조이 운영자 2003.03.01 8342 2003.03.01
304 현각스님, 금강경 강의 열두강좌 운영자 2006.09.03 8321 2006.09.03
303 검찰, 오웅진 신부 언제 소환하나/ 천주교계 `오신부 구명 로비` 논란 운영자 2003.02.16 8248 2003.02.16
302 김구 암살범 안두희 동영상 2 관리자 2011.04.02 8242 2011.04.05
301 창조론_진화 론 운영자 2009.12.16 8001 2009.12.16
300 [CN드림]캘거리 한인 연합교회 창립 25주년 기념 예배드려 사랑과정의 2010.06.11 7896 2010.06.11
299 2580 위험한 땅밟기 관리자 2010.11.22 7874 2010.11.22
298 비극의 상업화, 홀로코스트-한겨레 21 운영자 2003.03.02 7785 2003.03.02
297 국민 ‘기독교집회’보도 지면사유화 논란 -미디어 오늘 운영자 2003.01.18 7758 2003.01.18
296 가족 위해 헌신했지만, 돌아온 건 '췌장암' [서평] 김인선의 <내게 단 하루가 남아있다면> 1 관리자 2011.11.22 7736 2011.12.07
295 기도는 미국이 아닌 하나님께` -오마이뉴스 운영자 2003.01.30 7732 2003.01.30
294 ‘이단’ 생산의 뿌리 추적 운영자 2003.09.17 7679 2003.09.17
293 중국의 티베트인권 탄압 막고픈 리차드 기어 마음 외면한 한국불교 관리자 2011.06.29 7650 2011.06.29
292 토론토 한울연합교회, 하이파크교회로 개명 운영자 2004.10.16 7633 2004.10.16
291 Enemies of Reason (이성의 적들) 운영자 2010.04.01 7541 2010.04.01
290 신앙지지하는 과학 운영자 2009.12.16 7520 2009.12.16
289 봉은사 땅밟기 기도 관련 최바울 선교사 "땅밟고 기도하기가 뭐가 문제인가?" 관리자 2010.10.29 7505 2010.10.29
288 911과 네오콘 어젠다 운영자 2006.10.24 7503 2006.10.24
287 부시의 종교관 운영자 2003.03.14 7474 2003.03.14
286 `외계인 해부 비디오` 제작자 자백, 세기의 미스터리 풀려 운영자 2006.04.06 7467 2006.04.06
285 Muslim Demographics 운영자 2009.12.16 7419 2009.12.16
284 [‘교회 性차별’이대론 안된다-上] ‘여성은 남성 보조자’ 역할 구조화 운영자 2003.12.09 7408 2003.12.09
283 진중권 기독교 비판 운영자 2010.01.17 7392 2010.01.17
282 '이단심문관'에서 골칫덩이로... 교황은 부시 후계자? 운영자 2009.04.12 7341 2009.04.12
281 광화문 기독교 집회에 대한 생각 운영자 2003.01.16 7307 2003.01.16
280 7천년 `슈메르 고대문명` 모두 끝났다` (김상일 교수)-오마이 뉴스 운영자 2003.04.14 7305 2003.04.14
279 1966년, 한인연합교회의 창립과 이상철목사 운영자 2006.07.01 7291 2006.07.01
278 한인연합교회들 관리자 2010.09.24 7239 2012.03.10
277 기저귀 차고는 목사 못된다` 운영자 2003.11.18 7235 2003.11.18
276 생명의삶 두란노 큐티세미나안내. 몬트리올 교회 협의회 2007.04.26 7229 2007.04.26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