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조회 수 8714 추천 수 0 댓글 0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수정 삭제
“‘민주건달’님들, 살림살이 확 나아지셨습니까?”




유럽에 있는 동안 저는 조국통일 인사들을 적잖이 만났습니다. 이역만리에서 분단된 조국을 바라보면서 통일 염원을 갖는 것은 민족 구성원으로선 당연한 일이라 하겠습니다. 그런데 그들 중엔 의구심을 갖게 하는 인사들도 없지 않았습니다. 조국 통일을 외치면서 몇 안 되는 사람들이 통일된 목소리를 내지 못하는 일이나, 물리적 탄압에서 벗어나 있기 때문인지 서로 경쟁하듯 과격한 목소리를 내는 모습 등은 그들이 그들만의 무대에서 활약하는 ‘통일 건달’이 아닌가 하는 의구심을 갖게 했습니다.

그들의 존재 때문은 아닙니다만, 언제부턴가 저에겐 못된 버릇이 하나 생겼습니다. ‘말’의 진정성을 엿보기 위해 ‘말’의 주인공에게 국록(나라에서 주는 녹봉)이나 권력의 자리를 안겨주는 상상을 해보는 것입니다. 제 외할아버님은 제가 소싯적에 딱지치기나 구슬치기로 시간 가는 줄 모를 때 야단치는 대신에 “사람은 노름을 해보면 그 진면목을 알 수 있다”라는 말씀을 남겨주셨는데, 저는 사람들이 살림살이가 확 달라질만한 국록이나 권력을 쥔 모습을 상상해보면서 그들의 ‘말’의 진정성을 가늠해 보는 것입니다. 못된 버릇인 게 분명한데, 흥미로운 것은 그런 상상의 모습이 아주 잘 어울리는 사람이 있고 전혀 그렇지 못한 사람이 있다는 것입니다. ‘통일’이든, ‘민주’든, ‘좌파’든, ‘진보’든, ‘노동’이든 마찬가지입니다. 말할 것도 없이 ‘처지가 의식을 규정 한다’라는 명제를 적용해 보는 것이지요.

저의 곱지 못한 시선은 오늘 ‘민주건달’들이 득세한 모습을 보고 있습니다. 신자유주의를 수용하면서 노무현 정권이나 열린우리당, 또는 참여정부의 ‘개혁’이란 게 <‘민주건달’들의 일자리 창출>의 의미로 남았다는 것입니다. 거기에 알량하나마 권력까지 덤으로 갖게 되었으니 ‘민주건달’로선 주체하기 어려울 지경일 수 있겠습니다. 닳고 달은 관료들에게 포섭되는 일은 식은 죽 먹기와 같았을 것입니다.

전제할 필요도 없는 말입니다만, 물론 반민주세력이 계속 득세한 것보단 수백 배 낫습니다. 역사 진보의 발자취로 보더라도 ‘민주건달’들도 한 자리 하는 과정을 거쳐야겠지요. 그런데 ‘친절한 금자씨’의 말을 빌려 “‘민주’나 잘 하세요!”라고 말하고 싶은 이유는 ‘민주건달’들이 ‘좌파’까지 끌어안으려고 안간힘을 쓰기 때문입니다. 반민주세력이 종종 그들을 ‘좌파’라고 몰아세우는데 ‘민주건달’들은 이를 은근히 즐기는 듯합니다. 그러나 그것은 ‘건달’의 미덕으로 보더라도 온당치 않은 일입니다. ‘꿩 먹고 알 막고’도 유분수입니다.

과문의 탓인가요? 저는 ‘민주건달’에게서 노사관계에서 방향키를 반대로 바꾼 것에 대해 옹색하나마 그 이유를 들은 바가 거의 없습니다. 대미관계 또한 그 방향타를 반대 방향으로 틀었는데 궁색하나마 그 이유를 들은 바가 거의 없습니다. 자신의 초심을 부정한 사람들이, 그래서 민중을 말했던 과거의 자신을 배반한 사실조차 인식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좌파’를 들먹이는 행위는, ‘왕의 남자’ 앞에게도, ‘중세의 부퐁’ 앞에게도, 왕후장상에게 예속되었던 예술인들 앞에게도 참으로 부끄러운 일입니다. 그래서는 과거에 반민주에 맞섰던 민주의 ‘아우라’까지 손상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지 않기를 바라면서 권영길 민주노동당 의원의 말을 빌려서 한마디 해봅니다.

“‘민주건달’님들, 살림살이 확 나아지셨습니까?”

http://wnetwork.hani.co.kr/hongsh/contents_view.html?log_no=2202


홍세화 〈한겨레〉 시민편집인 드림
편집 : 한겨레 주주독자센터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공지 글쓰기 및 편집 방법 2 file 다중이 2016.06.12 49034
261 무엇이 이단인가? 좋은글 2006.03.14 9321
260 무시하지 맙시다 1 플로렌스 2012.03.15 13158
259 몰입에서 사색으로 키에르 2016.10.17 867
258 목숨걸고 편식하다 1 플로렌스 2012.07.31 8961
257 모든 이를 위한 삶 추기경 김수환 마틴 2009.02.18 9342
256 메일 열기만 해도 감염..웜 급속확산(상보) 운영자 2004.03.18 8926
255 메리언 앤더슨 그리고 숭고미 2 플로렌스 2016.04.26 565
254 맥도날드, 너 정말 무섭구나! - 오마이 운영자 2003.11.14 8445
253 매주 수요일마다 다운타운에서 일어나는일.. 아름다운청년 2004.08.04 8408
252 매주 수요일 목요일 남편들이 집에서 지켜야할 행동 수칙 2 나더미 2016.04.06 370
251 맞춰보세요 2 10 먼동 2012.01.28 18468
250 맞춰 보세요. 7 먼동 2012.01.27 9102
249 많은 분들과의 대화와 소통의 장이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나더미 2016.02.22 255
248 만행 하버드에서 화계사까지 를 읽고. 2 뚜버기 2010.11.01 9578
247 만세반석 열리니 로즈마리 2007.10.20 37273
246 막스 뮐러의 독일인의 사랑 영문판 1 ch 2010.11.21 45004
245 마인드 프로그램 2 플로렌스 2011.06.25 19065
244 마이클 샌델 초청토론 공생발전과 정의 플로렌스 2012.10.30 14115
243 마음을 여는 32가지 방법~ Jasper~ 2003.04.21 8007
242 마야 문명 플로렌스 2012.03.31 13404
241 리영희 전 한양대 교수-한겨레 운영자 2003.04.09 8363
240 리빙 스피릿 교회를 다니며 우리 아이들에 대한 이야기 입니다 Jane Lee 2004.01.02 10541
239 르완다, 식민분리주의의 악몽-한겨레 운영자 2004.04.15 72628
238 룡천역 일대 불바다..곳곳서 울부짖음 운영자 2004.04.24 15780
237 또다른 미국과 기독교인에 대한 무서운 이야기.(Jesus Camp) 2 뚜버기 2011.02.06 16928
236 또 하나의 각도 페다고지 2003.04.18 9170
235 동영상_고 노무현 대통령 추모 1 마틴 2009.05.25 8412
234 동양인 서양인 관점의 차이 마틴 2010.05.13 11517
233 동물의 세계_The Bear 3 프로방스 2012.02.22 10301
232 데미안과 함께 떠나는 카발라 여행 구정희 2006.05.08 8569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 7 8 9 10 11 12 13 14 15 16 ... 20 Next
/ 20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