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

단축키

Prev이전 문서

Next다음 문서

크게 작게 위로 아래로 댓글로 가기 인쇄

중국의 티베트인권 탄압 막고픈 리차드 기어 마음 외면한 한국불교

http://well.hani.co.kr/22912

조현 2011. 06. 29
조회수 86948추천수 0

ri.jpg

지난 22일 자신이 찍은 사진 앞에서 중국 정부의 티베트인 고문 사실을 폭로하는 리처드 기어.

미국 할리우드 유명배우 리처드 기어의 방한(지난 20~25일) 때 한국 불교계가 취한 태도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리처드 기어를 만난 조계종 총무원장 자승 스님을 비롯한 한국 불교계 인사들이 중국정부의 탄압으로 고통 받는 티베트의 인권 문제 등에 관심을 보이지 않은 데 대해, ‘불교적 가치를 도외시한 처사’라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리처드 기어도 방한 중 영화배우로만 화제가 되는 상황에 답답해한 것으로 전해졌다. 리처드 기어는 지난 20여년 동안 티베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 라마의 대변자로서 중국 정부의 티베트 불교에 대한 탄압 등을 서구 사회에 널리 알리는 데 애써왔다.

지난 21일 리처드 기어와 총무원장의 만남 자리에서 ‘티베트’ 문제가 언급되지 않은 데 대해, 조계종의 한 중진 스님은 “리처드 기어는 사실상 달라이 라마의 특사나 다름없는 인물인데, 그를 할리우드 영화배우로만 대하고 정작 고통 받는 티베트불교와 달라이 라마에 대해 종교지도자로서 자비심을 담은 의례적 언급조차 못한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평했다.

리처드 기어의 통역을 맡았던 혜민 스님은 “리처드 기어는 티베트인들의 실상을 전하고, 차분히 한국 불교에 대해서 공부하고자 했지만, 가는 곳마다 영화 이야기만 해 답답해했다”며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문제는 마치 하지 않기로 약속이나 한 듯이 아무 데서도 꺼내지 않았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22일 사진전 개막식날 서울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주최 쪽은 기자들에게 “리처드 기어에게 어떤 정치적 질문도 하지 말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리처드 기어는 한 사진을 설명하면서 “티베트 교도소에서 중국 정부로부터 고문받은 여승들을 찍은 것이며, 티베트와 중국에서 여전히 티베트인들에게 이런 고문이 자행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ti monk.jpg

리처드 기어가 찍은 티베트 여승의 사진

한국 정부는 중국 정부의 압박으로 2000년 이래 여러 차례 달라이 라마의 비자 발급을 거부했다. 중국 정부는 외교 관계가 있는 나라들에 대해 달라이 라마의 비자를 발급하지 못하도록 압력을 행사하고 있지만, 일본은 10여차례나 달라이 라마의 방문을 허용하는 등 중국의 그런 압력에 실제 굴복하는 나라는 한국 외엔 거의 없는 실정이다. 조계종 역시 국가가 장악한 중국 불교계와는 다른 처지임에도, 정부 기조에 비판 없이 동조해왔다.

정웅기 불교시민사회네트워크 집행위원장은 “(한국 불교가) 자비와 인권, 비폭력 등 불교적 가치를 인류사회에 실현하기 위해 어떻게 대응하고 연대해야 하는지에 대해 별다른 비전이 없다는 것을 이번 리처드 기어의 방한 때도 보여준 것”이라고 비판했다. 리처드 기어는 경남 양산 통도사와 대구 동화사 등을 방문해 한국 불교를 체험할 계획이었으나 날씨 등을 이유로 들어 결국 산사체험 계획을 취소하고 떠났다.

이에 대해, 리처드 기어와 총무원장의 만남에 배석한 조계종 기획실장 정만 스님은 “리처드 기어가 ‘여기서 먹는 맛있는 음식과 달리 티베트에서 먹은 음식은 거칠고 먹기 어렵다’는 이야기만 했을 뿐 달라이 라마와 티베트 문제 등에 대한 대화는 없었다”며 “자리가 번잡하고 리처드 기어의 가족까지 함께했기 때문에 그런 이야기를 나눌 만한 분위기가 아니었다”고 해명했다.

또 혜민 스님은 "리처드 기어가 산사에 가지않은 것은 한국 불교에 대한 불만이라기보다는 일정을 조정했던 기획사와 파파라치처럼 따라 붙은 기자들과 팬들 때문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현 종교전문기자 cho@hani.co.kr

?

Title
List of Articles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수 최근 수정일
335 개신교와 친미주의- 오마이 뉴스 운영자 2003.01.11 9428 2003.01.11
334 광화문 기독교 집회에 대한 생각 운영자 2003.01.16 7307 2003.01.16
333 국민 ‘기독교집회’보도 지면사유화 논란 -미디어 오늘 운영자 2003.01.18 7758 2003.01.18
332 기도는 미국이 아닌 하나님께` -오마이뉴스 운영자 2003.01.30 7732 2003.01.30
331 검찰, 오웅진 신부 언제 소환하나/ 천주교계 `오신부 구명 로비` 논란 운영자 2003.02.16 8248 2003.02.16
330 소망교회 곽선희 목사 변칙세습 일단 `제동` -뉴스앤조이 운영자 2003.03.01 8342 2003.03.01
329 교계언론, `애완견`인가 `감시견`인가 운영자 2003.03.01 5688 2003.03.01
328 비극의 상업화, 홀로코스트-한겨레 21 운영자 2003.03.02 7785 2003.03.02
327 “곽선희 목사도 빨갱이야!” -한겨레 운영자 2003.03.04 6471 2003.03.04
326 성경공부 안내 문서선교회 2003.03.09 6321 2003.03.09
325 부시의 종교관 운영자 2003.03.14 7474 2003.03.14
324 남의 교회 일에 왜 간섭하느냐!` 뉴스앤조이 운영자 2003.03.23 7072 2003.03.23
323 주일성수와 십일조 논의, 영원한 성역인가 운영자 2003.03.23 6973 2003.03.23
322 극동방송, `철없는 대통령` 설교, 뒤늦게 방송 운영자 2003.03.23 7157 2003.03.23
321 종교의 적은 종교? 근본주의가 평화 깬다 -한겨레 운영자 2003.03.28 5567 2003.03.28
320 [우리시대의 巨匠] 종교학자 정진홍 교수 -주간한국 운영자 2003.03.30 5648 2003.03.30
319 정진홍 교수 고별강연회 동영상 운영자 2003.03.30 7083 2003.03.30
318 경고문(시온산) CHUNG 2003.04.02 5402 2003.04.02
317 7천년 `슈메르 고대문명` 모두 끝났다` (김상일 교수)-오마이 뉴스 운영자 2003.04.14 7305 2003.04.14
316 이라크 시아파 대규모 반미시위 운영자 2003.04.16 4985 2003.04.16
315 슬픈 4.19 기념 시민행사 두 풍경/ 운영자 2003.04.19 5510 2003.04.19
314 부활절: [[KNCC + 조선그리스도인연맹]] 운영자 2003.04.20 5049 2003.04.20
313 시아파 조직적 세확장 미 당혹 운영자 2003.04.23 4862 2003.04.23
312 시아파 `민중권력`으로 부상- 문화일보 운영자 2003.04.24 4636 2003.04.24
311 미국을 당혹케 하는 ‘시아파의 힘’ -프레시안 운영자 2003.04.24 4206 2003.04.24
310 주변에 품위없는 성직자 많다” 53% - 한겨레 운영자 2003.04.25 4360 2003.04.25
309 논쟁으로 본 한국의 종교 8- 유교의 종교성 논쟁 운영자 2003.05.03 6466 2003.05.03
308 여러 종교가 주는 심오한 진리? 운영자 2003.05.10 11155 2003.05.10
307 예수님 예수님 우리 예수님 운영자 2003.05.12 5163 2003.05.12
306 Religion in the Classroom -CBC News 운영자 2003.05.13 5434 2003.05.13
목록
Board Pagination Prev 1 2 3 4 5 6 7 8 9 10 ... 12 Next
/ 12

Powered by Xpress Engine / Designed by Sketchbook

sketchbook5, 스케치북5

sketchbook5, 스케치북5

나눔글꼴 설치 안내


이 PC에는 나눔글꼴이 설치되어 있지 않습니다.

이 사이트를 나눔글꼴로 보기 위해서는
나눔글꼴을 설치해야 합니다.

설치 취소